|
|
만 3세 |
1월 |
1주 |
81차 |
|
|
활동목표 |
나비를 만나러 가는 과정을 통해 신체의 평형성과 조정력을 기른다 |
활동영역 |
소도구활동, 대도구활동 |
활동자료 |
호루라기, 나비 그림, 새 소리를 담은 자연 음악, 평균대, 매트, 풍선 |
■ 활동방법
ꊱ 도입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도깨비 뿔 잡기’ 스트레칭을 실시한다.
① 유아들을 아기다리 상태로 앉힌 후 양손을 뒤로 잡게 한다.
② ‘도깨비 잡으러 갑시다. 이야이야호’(4박자 리듬)노래를 부르며 손가락을 허벅지에서 무릎, 발가락까지
가져간다.
③ 유아의 발가락이 도깨비 뿔이 됨을 알려주고 ‘도깨비 뿔 잡자’라고 교사가 외치면, 유아들은 재빨리 손으로 자신의 뿔을 잡는다.
④ 교사가 다시 ‘아빠 도깨비가 나타났네, 아이고 무서워’라고 하며 머리를 숙인다. 유아들도 같은 방법으로 이를 따라한다.
⑤ 교사가 고개를 들며 ‘갔나, 갔나 아직 안 갔네’하며 머리를 다시 숙인다.
⑥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엄마 도깨비, 할아버지 도깨비 등을 부르며 아기 다리 상태에서 머리를 숙이며
스트레칭을 한다.
⑦ 도깨비가 안 보일 때는 ‘도깨비가 집에 갔네요, 우리도 집에 가자’라고 말하며, ‘집에 가요 집에 가
이야이야호’(4박자 리듬)를 부르며 손을 다시 엉덩이 뒤로 가져가 마주 잡는다.
ꊲ 전개
① 유아들에게 ‘오늘은 나비를 만나러 숲 속으로 갈거야’라고 말한 뒤, 미리 설치 해둔 매트는 낮은 산이 되고, 평균대는 다리가 됨을 알려준다.
② 교사가 들고 있는 풍선은 유아들이 나비를 만나러 가는 도중에 배가 고파서 따먹을 사과가 됨을 말해준다.
③ 유아들이 매트와 평균대, 그리고 풍선을 들고 있는 교사를 지나서 도착 지점에 교사가 종이로 미리 만들어 놓은 나비를 유아들이 가지고 집(유아들 자기자리)으로 돌아온다.
④ 낮은 산(매트)에서는 유아들이 옆구르기로 데굴데굴 구르고 다리(평균대)를 만났을 경우에는 물(바닥)에 빠지지 않도록 옆이나 앞으로 조심조심 걷는다.
⑤ 이후 유아들의 키 보다 높이 매달려 있는 사과(풍선)를 따고 마지막으로 나비를 만나 그것과 함께 집으로 돌아오게 된다.
⑥ 놀이 전 과정에 숲의 상상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새 소리를 담은 자연의 소리를 들려준다.
ꊳ 마무리
13차 마무리활동인 ‘나비 스트레칭’을 실시한다.
■ 유의점
다리(평균대)를 지날 때 간혹 유아들 중 빨리 걷거나 뛰는 경우가 있는데 떨어져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시켜야 한다.
■ 확장활동
나비 만나러 가는 과정에 매트, 평균대뿐만 아니라 어린이집에 있는 기타 도구들을 설치해
좀 더 많은 여행 과정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 참고 자료
전개활동:시설배치도 나비모형
![](http://www.echild.or.kr/root_file/WEASFiles/20060209_165529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