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자료모음/어린이집자료

[스크랩] 겨울잠을 자요

하늘 ~ 2007. 11. 15. 23:32

주 제

 [이야기 나누기]  겨울잠을 자요.

목 표

- 동물들의 겨울 생활에 대해 안다.

- 계절에 따른 생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활동 자료

Tip 겨울잠을 자는 동물 그림자료

활동 방법

 ① 겨울잠 자는 동물들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

   - 우리친구들은 밤에 무엇을 해요?

   - 그래요. 밤이 되면 잠을 자고 아침이 되면 일어나요.

   - 그런데 아침이 되어 일어나지 않고 하루, 이틀, 오랫동안 계속 잠을 자면 어떻게 될까요?

   - 사람은 그렇게 오랫동안 잠을 잘 수 가 없지만 동물 친구들은 겨울동안에 깊이

     잠을 잔답니다.

   - 우리들은 이것을 겨울잠이라고 해요.

 ②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에 대해 그림 자료를 보며 이야기 나눈다.

   - (그림 자료를 보여주면서)어떤 동물이에요?

   - 이 동물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 것 같아요?

   - 동물은 춥고 먹이를 구하기 힘든 겨울철에 살아남기 위해 땅 속이나 나무 밑에서

     잠을 자요. 겨울잠은 추위와 먹이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동물의 환경적응 방법이랍니다.

 ③ 동물들은 왜 겨울잠을 자야 하는지 생각해 본다.

   - 겨울잠은 동물들이 아무것도 먹지 않고 죽은 듯 잠을 자는 것을 말한단다.

     대부분의 동물들은 가을철에 가장 식욕이 왕성한데, 이때 동물들은 평소 몸무게의 두 배가

     될 정도로 살이 찐단다. 겨울에는 먹이를 구할 수 없으므로 미리 먹고 그것을 지방으로

     바꾸어 몸속에 저장하기 때문이란다.

   - 겨울 양식을 몸 밖에 저장해 두는 동물들도 있단다.

     두더지는 벌레와 지렁이를 잡아 땅 속의 곳간에 모아 둔단다.

  ④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은 어떻게 봄이 오는 것을 아는지 이야기 나눈다.

   - 겨울동안 잠을 자던 동물들은 어떻게 봄이 온 것을 알고 잠에서 깨어날까요?

   - 땅 속에서 잠을 자던 동물들은 기온이 올라가면서 체온도 올라가게 되어 잠에서

     깨어나게 된단다. 또 다른 동물들은 몸속에 생체시계라는 것이 있어서 그 시계가 봄이

     왔음을 알려주면 잠에서 깨어날 수 있다고 해요.

  ⑤ 동물원의 동물들은 왜 겨울잠을 자지 않는지 이야기한다.

   - 동물원에 살고 있는 곰은 겨울잠을 잘까요? 왜 자지 않을까요?

   - 겨울잠은 동물들이 먹이가 없는 추운 겨울을 살아가는 방법이란다.

     그러나 겨울에도 먹이를 충분히 먹을 수 있는 동물원의 곰들은 겨울잠을 잘 필요가 없단다.

 

참고 자료

 - 박쥐

 가을이 되면 박쥐는 그때까지 살던 곳을 떠나 겨울잠을 잘 다른 장소로 떠난다.

 물론 여름에 사는 곳과 겨울잠을 자는 장소가 같은 경우도 있다.

 겨울잠을 자는 곳은 온도 변화가 아주 적은 곳이어야 한다.

 박쥐가 겨울잠에 들어가면 몸이 차츰 식어 가는데 영하의 온도까지 내려갈 정도로 차가워진다.

 추위가 계속되는 겨울철에는 이런 상태가 6개월 동안이나 지속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이런 깊은 잠이 한겨울 동안 멈추지 않고 계속되는 것은 아니다.

 가끔 한두 시간쯤 잠에서 깨어나 물을 마시거나 좀더 따뜻한 곳으로 자리를 옮기기도 한다.

 - 곰

 곰은 겨울잠을 잘 구멍을 찾으면 그 구멍이 자기 것이라는 것을 다른 동물에게 알리기 위해

 근처의 나무에 발톱 자국을 남긴다. 그리고 1주일 동안이나 몸 말리기를 한다.

 겨울잠을 자는 동안 몸이 젖어 있으면 불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 곰은 고슴도치나 박쥐처럼 겨울잠을 자지는 않는다.

 그저 꾸벅꾸벅 졸고 있는 상태로 지내기 때문에 의식이나 감각은 평상시와 같다.

 체온도 29도 아래로는 내려가지 않는다. 또 몸집이 큰곰은 몸속에 저장한 영양분에 비해

 기초대사율이 낮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할 필요가 없다.

 곰의 새끼들은 주로 겨울에 태어난다. 새로 태어난 새끼들은 집쥐만큼 아주 작으며

 몸무게도 500g이 채 못 된다. 새끼들은 어미 곁에 딱 붙어 포근하게 겨울을 보낸다.

 - 물고기

 겨울철 얼음 밑의 수온은 4도 정도가 된다. 물고기가 겨울을 나기에는 충분한 온도다.

 대부분의 민물고기들은 얼음이 언 강물 바닥에서 겨울잠을 잔다.

 강바닥 중에도 물살이 세지 않은 곳의 돌 밑이나 모래 속을 주로 찾는다.

 잉어는 진흙 속에 몸을 숨긴다. 그래서 물고기를 잡아먹고 사는 청둥오리나 쇠물닭 같은 새들은

 얼음이 두껍게 얼기 시작하면 부리로 힘차게 두드려서 얼음을 깨고 구멍을 만든다.

 만약 얼음이 꽝꽝 얼어 버린다면 새들은 오랫동안 배고픔과 추위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 개구리, 뱀, 달팽이

 날씨가 추워지면 변온동물들은 몸이 차가워지고 근육은 딱딱하게 굳는다.

 더이상 몸을 움직이지 않은 채 숨도 거의 쉬지 않는다.

 만일 겨울잠을 자는 곳의 주변 온도가 0도 아래로 떨어지면 얼어 죽기 때문이다.

 청개구리는 진흙 속에 들어가 숨는다. 뱀은 쥐가 파 놓은 땅속의 굴이나 바위 밑에 들어가

 몸을 둘둘 감고 겨울을 보낸다. 달팽이도 땅속에 들어가 겨울을 보내지만 웬만한 추위에는

 얼어 죽지 않는다. 단단한 겉껍질과 분비물로 막아버린 구멍이 추위를 견디게 해 주기 때문이다.

출처 : ★★★ 유아교육 미술교육 ★★★
글쓴이 : 고드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