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자료모음/어린이집자료

[스크랩] 눈

하늘 ~ 2007. 11. 15. 23:30

 

목표 

눈에 관심을 갖고 눈의 모양과 내리는 모습을 탐색한다. 

 

준비물

 실제 눈, 눈 사진

 

■ 활동방법


① 눈을 본 경험을 이야기로 나눈다.
- 눈을 본적이 있니?
- 어느 계절에 보았니?
- 어떤 모양이었니?
- 만져보았을 때의 느낌이 어땠니?
- 무슨 색이었니?

② 첫눈이란 무엇인지 알아본다.
- 혹시 첫눈이란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니?
- 첫눈이란 무엇일까?
: 우리나라에서 첫눈이라함은(공식적으로) 유인 기상관측소에서 눈이 관측되는 것을 말하죠.
즉. 기상청 발표가 있어야 첫눈으로 인정되는 겁니다.

③ 눈의 색에 대해 알아본다.
- 눈의 색은 무슨 색일까?
- 눈은 왜 하얀색일까?
: 눈 결정은 매우 섬세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빛이 반사하거나 굴절할 수 있는 면을

 무수히 가지고 있다. 따라서 눈은 희게 보이지만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먼지나 미생물이

붙으면 붉은색 ·노란색 또는 검은색으로 착색되는 경우가 있다. 즉 눈이 하얀 이유는 빛을 잘

반사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④ 눈은 어떻게 내리게 되는지 알아본다.
- 눈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눈이 오는 원리를 이해하려면 비가 오는 원리부터 알아야 합니다.

비는 대기중의 수증기가 서로 뭉쳐서 지름 0.2mm 이상이 되면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하지만 날씨가 추워져서 0도 이하로 떨어지면 내리는 비가 얼면서 서로 엉켜붙어서 눈송이를

이루게 됩니다. 눈송이의 크기는 보통 1cm 정도이지만 수천 개의 눈 결정이 엉겨붙어서 된

수십 cm의 눈송이가 관측된 사실도 있다고 합니다.
흔히 말하는 함박눈은 포근한 날에 잘 내리며, 눈송이가 커서 잠시 동안에

온 세상을 은세계로 만들구요 매우 추운 날에는 큰 눈송이로 성장하지 못한 가루눈이 내립니다.

 함박눈은 끈기가 있어서 잘 뭉쳐지지만, 가루눈은 끈기가 없어서 잘 뭉쳐지지 않습니다.

가끔은 하나하나의 눈 결정이 엉겨붙지 않고 내리는 것이 관측되는데 이걸 보통 싸락눈이라고 합니다.

출처 : ★★★ 유아교육 미술교육 ★★★
글쓴이 : 고드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