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무 리
<메주 만들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11월 16일) >
ꋮ준 비 물
개인활동 그림이나 글
ꋮ활동전개
① 메주 만들기에 대한 개인의 느낌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② 메주 만드는 과정의 그림이나 사진들을 보면서 이야기 나눈다.
③ 개인 또는 그룹이 조사한 것을 보면서 이야기를 나눈다.
④ 메주 만들면서 즐거웠던 점, 어려웠던 점, 새로 알게 된 점에 대해서
이야기 나눈다.
ꋮ연결 및 확장활동
개인이 관찰하고 기록한 활동물을 가정으로 보내어 메주 만드는 과정과,
이후의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ꋮ교사의 평가 및 제언
① 교사는 메주가 어떻게 만들어지며, 어린이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유지
될 수 있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민을 해야한다. 그리고
어린이들이 활동을 하는 동안 가지게 되는 궁금한 점을 어떻게 풀어줄 수
있는지도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계속 가져야 할 문제라 생각한다.
② 메주를 만드는 데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활동마다 필요한 준비물이 많아서
이동을 하면서 수업을 했다. 그때 교사가 들고 움직이지 못할 경우 아이들의
도움을 많이 받았고 아이들도 즐거워했다. 가정에서 메주에 대한 관심을
부모님들께서 잘 이해해주시고 도와주시는 분이 몇 분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아이들의 흥미와 열의가 작아지는 경우도 있어서, 부모님들의 협조를 구하는
과정을 잘 계획한다면 메주활동이 더 잘 이루어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③ 제일 힘든 부분은 메주콩을 삶는 과정인데, 삶아지는 동안 (대략 5-6시간 소요)
계속 옆에서 지켜보면서 주걱으로 저어주거나 물의 양을 살피고 끓는 과정을
지켜봐야 했다. 특히 아이들과 삶을 때도 불을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의 문제가
염려되었지만 아이들은 변화를 한 눈에 볼 수 있어서 좋아했다. 소그룹으로
진행되는 동안 옆에서 보고싶어하는 아이들에게 이해를 바라고, 미를 약간
차단해야 하였다.
④ 메주를 만들고 나서 새끼줄에 묶어서 교실 문 앞에 모빌로 매달아 두었다.
아이들도 흥미롭게 지켜보았고 관찰도 용이하다고 생각하였다. 오히려 메주에
생겨야 할 곰팡이는 교실 구석진 곳이 쟁반 위에 있던 메주에서 나타났다.
계속 매달아 두면 먼지가 들어갈 수도 있고 곰팡이가 피지 않으므로 보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⑤ 교사는 메주를 만들어 겉이 충분히 마르면, 공기가 통하는 박스나 자루에 넣어
적정온도가 유지되는 실내장소에 1-2달 정도 보관한다. 가능하면 교사는
장 담그는 2,3월에 아이들과 장 담그는 활동을 같이 해 보아 메주 간장과
된장간의 관련성을 알게 하고, 우리 생활과의 관련성을 알게 하는 것이 좋다.
⑥ 다음 번에는 더 많이 찾아보고, 물어 본 후, 텃밭의 콩으로 메주 만들기 활동을
전체 반에서 경험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